할머니가 사주신 양말

2016. 7. 3. 16:56

어제는 음력 5월 28일 할아버지 제사.

할아버지, 할머니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상을 차려드리는 날 이었습니다.


문득 들었던 몇 가지 끄적거려두고 싶은 생각들 정리합니다.


아버지가 어릴 때 돌아가신 얼굴도 못 뵌 할아버지.

약 2년 전 쯤 돌아가신 할머니.

그래도 여전히 그 존재감으로 가족들이 모이는 자리를 만들어주시는 감사한 분들입니다.


직접 쓴(그린) Thank you


어제는 특별히 할머니가 명절에 선물로 주시던 양말 생각이 났습니다.

가족, 친척들이 신고 있는 양말이 할머니가 선물하셨던 색깔을 닮아서였을까요.


1. 작은 선물


돌아가신지 얼마 안되셔서 아직도 할머니 방에 가면 웃으면서 양말을 주실 것만 같네요.

한 번 할머니가 주신 양말을 떠올리면 모든 양말이 할머니가 주신 것 같아 보입니다.

할머니의 작전 이셨는지 몰라도 정말 흔한 디자인의 양말을 주셨거든요.

꾸준히 주는 작은 선물은 어쩌면 생각나는 추억이 되고 잊지 못할 기억이 되는 모양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변함 없이 꾸준한 작은 선물을 건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2. 양말


그런데 왜 하필이면 양말을 주셨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양말은 몸의 가장 아래에서 고생하는 발을 감싸는 옷입니다.

빨리 헤지고 더러워질 수 밖에 없죠.

자녀를 키우느라 고생하시는 부모님들의 이미지와 겹칩니다.

'자녀들이 서로 그렇게 섬겼으면..' 하는 바람이 담긴걸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돌아가신 할머니께 그 의미를 여쭤볼 수는 없습니다.

다만 양말에 담긴 따뜻한 마음만은 여전히 느껴지네요.


3. 효


"돌아가시기 전에 잘해드려야지..."

차례를 지내거나 제사를 지낼 때면 늘 듣는 말입니다.

십분 동의하는 말이기도 하구요.

그럼 이미 돌아가셨으면 효의 기회는 더이상 없는걸까요?

생전에 바라셨던대로 살아가는 것이 효의 연장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양말에 담긴 의미대로 가족, 친척들이 화목하게 웃으면서 지내는 것.

모여서 추억을 나누는 것도 효라고 생각하고 싶어집니다.


번외. 

지혜로운 누나가 전해주는 명절, 행사 때 고생한 아내에게 해야하는 말!?


친한 듯 안 친한 듯 모이면 웃고 떠들게 되는 친척들.

그 자리에 빠지지 않는 많은 요리들과 제사 상에 올려지는 음식들.


자리를 만들기 위해 묵묵히 고생하는 분들이 반드시 있습니다.

어머니들, 형수들, 그리고 아내가 음식을 하고 뒷정리를 하느라 하루 종일 일하죠.


그 고생을 하고 돌아가서 어떤 말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남자들이 주로 하는 말 

"고생했어, 수고했어"

누나는 그 말을 들으면 왠지 돈 받고 일하는 파출부가 된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그보다는 차라리 

"고마워" 

라는 말을 먼저 해주는 게 듣기 좋다고!

많이 공감했습니다.

TechTrip 스압없는 소소한 Ep.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HP 유선 프린터 무선으로 사용하기

2016. 6. 26. 22:47

프린터 하나 있으면 좋겠다 싶어 현X 카드 포인트로 프린터를 구입했습니다.

하지만 유선 프린터라는 것이 의외로 불편했습니다.

2대의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출력할 때마다 연결해서 쓰는게 귀찮았습니다.

그렇다고 노트북을 늘 켜두고 공유하기에는 왠지 전력이 아깝기도 하구요.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로 무선 프린팅 환경을 만들어보자는 결심을 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는 저전력이므로 늘 켜놓아도 전력 소비가 덜하니까요.

게다가 두 대의 노트북이 더 이상 프린터에 묶이는 일도 없습니다.

프린터를 다시 사는 것 보다도 싸구요.


몇 가지 난관이 있긴 했지만,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무선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선 환경을 위해 준비해야할 사항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라즈베리 파이에 운영체제(Raspbian) 설치

2. CUPS(Common Unix Printing System) 설치

3.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4. CUPS IPP 공유 설정

5. Window에서 IPP 프린터 세팅


1. 라즈베리 파이에 운영체제 설치

아래의 라즈베리 파이 사이트를 따라하면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https://www.raspberrypi.org/help/noobs-setup/


2. CUPS 설치

리눅스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cups


3.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CUPS의 기본 프린터 드라이버 목록에 사용하는 프린터가 있다면 생략 가능합니다.

하지만 저의 프린터 (HP Deskjet 2645)는 불행히도 아니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HP 프린터의 리눅스 드라이버 설치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http://hplipopensource.com/hplip-web/gethplip.html/


다만 윈도우에 익숙한 저로서는 리눅스 드라이버 설치에 어려움이 좀 있었는데요.


첫째로 파일 실행 권한입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하려고 하는데, 실행이 안됩니다.

권한이 없기 때문이죠. 

아래와 같은 command로 먼저 권한을 부여해주어야 합니다.

chmod 750 hplip-3.16.5.run (user에게 모든 권한, 그룹에 읽기 실행 권한 부여)


둘째로 배포판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리눅스는 윈도우에 비해 많은 버젼이 있습니다. (Ubuntu, CentOS, RedHat...등등)

물론 설치 파일에서 자동으로 detect 해주지만,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구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운영체제인 Raspbian은 어떤 버젼일까요?

아래와 같은 command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grep . /etc/*-release


Raspbian 운영체제 정보 확인


위 이미지에서 보시다시피 debian으로부터 파생된 버젼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자처차 다운로드 받은 드라이버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드라이버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4. CUPS 설정

vi나 nano와 같은 txt 편집툴을 이용하여 CUPS 설정 파일을 손봐줘야 합니다.

원격에서 CUPS 서버가 보이도록 하는 건데요.

설정 파일의 위치는 /etc/cups/cupsd.conf 입니다.

아래 이미지의 노란 글씨 부분을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Listen 하는 IP Address는 물론 라즈베리가 연결된 IP 겠죠?

아래 Allow의 IP Address는 연결하고자 하는 PC들의 IP 대역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CUPS 설정파일 편집


로컬호스트 혹은 IP주소에 631 포트로 접근하면 CUPS 웹 인터페이스 접속이 가능합니다.

Administration 탭의 Add Printer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프린터 이름과 프린터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버튼을 클릭하면 완료됩니다. 


CUPS 웹인터페이스


우측의 Share Printer connected to this system 옵션과 그 아래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다른 컴퓨터에서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Window에서 IPP 프린터 세팅

제어판의 '하드웨어 및 소리'의 '장치 및 프린터'에 가서 '프린터 추가'를 클릭합니다.


윈도우 제어판의 프린터 추가


위와 같이 라즈베리 파이의 IP와 프린터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적절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완료하면 원격으로 (같은 무선 AP에 접속) 출력 가능합니다.


찾아보면 자세한 레퍼런스 들이 많아 생각보다 수월하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아래 제가 참조한 사이트 링크 남깁니다.


참조:

http://hplipopensource.com/hplip-web/index.html

https://wiki.archlinux.org/index.php/CUPS/Printer_sharing

http://www.makeuseof.com/tag/make-wireless-printer-raspberry-pi/

'IT Tech > Rasp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ian 패키지 업그레이드 (apt-get upgrade) 오류  (1) 2016.09.04

TechTrip IT Tech/RaspberryPi

오스트리아 여행 너무 깨알 팁~

2016. 6. 4. 22:23

지난 5월 오스트리아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7박 9일 오스트리아만 흠뻑 즐기다 왔죠.

본론에 앞서 직접 찍은 오스트리아 여행 자극 사진 한 번 봅시다.

만들고 보니 죄다 호수 풍경이지만, 비엔나에서 가장 오래 있었던 것은 함정이네요.


오스트리아 여행 사진(상단-장크트볼프강, 하단-할슈타트)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오스트리아 여행 깨알 팁입니다.

여행 정보야 워낙 넘쳐나니까 가서 지내다가 당황한 순간들을 공유해봅니다.


1. 남,여 화장실


보통은 남, 여 이미지를 활용하여 쉽게 해두지만 간혹 약어를 사용한 곳이 있습니다.

독일어를 하신다면 쉽게 눈치챌 수 있겠지만 전혀 모르신다면...

어디가 남자일까요?


호텔 엘리펀트 레스토랑 화장실


Herren은 남성(Gentlemen), Damen은 여성(Ladies)을 의미합니다.

그 첫 글자를 따서 H는 남성, D는 여성 화장실입니다. 


2. 버스, 트램 탈 때 스스로 문 열기

 

우리나라 버스는 버스 기사님이 문을 열어주십니다.

오스트리아의 트램이나 버스는 스스로 열고 타야합니다.

문 옆쪽에 보면 손 모양 버튼이 있습니다. 

버스나 트램이 잠시 정차하면 눌러서 스스로 열고 타야합니다.


잘츠부르크 버스 뒷문 사진


3. 횡단보도 신호변경


우리나라에도 눌러야 신호가 바뀌는 횡단보도가 드물게 있죠.

주로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의 횡단보다가 그렇습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꽤나 자주 그런 곳을 볼 수 있습니다.

마냥 기다리면 계속 못건너요.


횡단보도 신호 변경 버튼


이 밖에도 몇 가지 더 있었는데 한 달 지나니 기억이 안나네요.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들이었나 봅니다.


오스트리아는 음악과 낭만의 도시이자 자연 환경이 정말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7박 9일 있어도 아깝지 않았어요. 

TechTrip 놀면서 배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