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문자 영어로 읽기

2015. 6. 11. 20:58

오늘 회사 업무 중 해외 개발자와 통화할 일이 있었습니다.

이런 저런 설명을 하다가 코딩의 특정 부분을 주석처리 해달라고 요청해야할 일이 생겼죠.


필자: "Please comment out those lines."

해외개발자: "OK, then... How can I do that?"


조금 당황스러웠습니다.

주석처리 하는 법을 설명하려니 특수문자를 영어로 알려줘야 하는 상황.

앞부분에 이 기호를 <!-- 뒷부분에 이 기호를 --> 넣어야했습니다.


막상 이야기하려니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막막해져서 결국 e-mail 로 써서 보냈네요.

부끄럽게도...

통화를 마치자마자 특수문자를 영어로 어떻게 읽는지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외개발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스킬인듯 싶어서요.

참고 삼아 기록해두고 찾아볼 수 있게 하려고 공유합니다.


일단 앞의 예제를 읽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 번째는 'less-than sign, exclamation mark, two hyphen-minus' 라고

두 번째는 'two hyphen-minus, greater-than sign' 이라고 읽습니다.


문득 지금 드는 생각은 메일로 보내는 게 더 효율적이었을 듯도 하네요.

그래도 알아둬서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키보드 레이아웃


위 그림의 키보드에 포함된 특수문자, 기호들을 영어로 읽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호

영어 

 `

 Grave accent

 ~

 Tilde 

 !

 Exclamation mark 

@

 At sign 

#

 Number Sign, Hashtag, Sharp

%

 Percent Sign

^

 Circumflex accent

&

 Ampersand

*

 Asterisk

(

 Left parenthesis

)

 Right parenthesis

-

 Hyphen-minus

_

 Underscore, Low line

=

 Equal Sign

+

 Plus Sign

[

 Left Square Bracket

]

 Right Square Bracket

{

 Left Curly Bracket

}

 Right Curly Bracket

\

 Backslash

|

 Vertical Bar

;

 Semicolon

:

 Colon

'

 Apostrophe

 Quotation mark

,

 Comma

.

 Full stop, Period

<

 Less-than sign

>

 Greater-than sign

/

 Slash, Solidus

?

 Question mark


찾고보니 많아서 다 외울 수 있을지 자신이 없네요.

필요하면 다시 찾아서 쓰고,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입에 붙기를 바라봅니다.


정보출처: 위키피디아 유니코드 문자표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Unicode_characters

TechTrip 스압없는 소소한 Ep.

해외사이트 주소 입력 시 State/Province/Region?

2015. 4. 25. 21:19

해외 직구(직접구매?)나 해외 여행시 웹사이트로 예약을 하다보면 자주 봉착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주소 입력인데요.

사이트 회원 가입, 직구를 위한 배송정보를 입력 등 주소 입력을 필요로 할 때가 많습니다.


쉽게 마주치는 두 가지 헷갈리는 문제가 있지요.

Address1과 Address2로 나뉘어 있는 입력창과 State/Province/Region을 입력하는 창입니다.

영문 주소야 검색을 하든 발음대로 작성하든 상관이 없는데 어떻게 나눠쓸 것이냐가 애매하구요.

Zip Code는 우편번호를 쓰면 되는데 State/Province/Region은 뭘 입력해야 하느냐가 난해합니다.


첫 번째로 Address1과 Address2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Address1에 다 넣어도 됩니다.

그럼 Address2는 왜있을까요?

간혹 주소가 많이 길 경우, Address1에 더이상 들어가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Address2에 적당히 나누어 넣으면 됩니다.

살짝 IT 적으로 보자면 데이터베이스의 한 칼럼에 들어가는 글자 수가 정해져있습니다.

그 때문에 너무 긴 주소의 경우 한 칼럼에 안들어가니 영역을 더 마련해 둔 겁니다.

결국 주소는 Address1, Address2를 합쳐서 사용되며 Address1에 다 적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두 번째로 State/Province/Region에 대해 이해해봅시다.

쉽게 말하자면 '특별시', '광역시', 혹은 'OO도'와 같은 행정 구역 구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의 행정 구역은 State로 구분되고, 캐나다, 호주와 같은 나라는 Province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일본같은 경우는 도와 현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런 곳은 Region이라 할 수 있겠네요.

우리나라 행정 구역은 특별시, 광역시, 도로 구분되어 있고, 그 아래 시,군,구가 있는데요.

새로 생긴 세종 특별자치시도 있네요.

이것을 State라고 할지 Province라고 할지 Region이라고 할지 구분이 묘하긴 합니다만

아무튼 서울은 특별시이므로 State/Province/Region도 서울, City도 서울입니다.

광역시인 대전, 대구, 부산 등도 마찬가지구요.

이외의 시들은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등에 속해있으니 State/Province/Region은 OO도 입니다.

요약하자면 State/Province/Region은 아래와 같습니다.


State/Province/Region

서울, 대구, 부산 등 (특별시, 광역시)

Seoul, Daegu, Busan etc. 

경기도

Kyeonggi-do 

강원도

Kangwon-do

충청도

Chungcheong-do

경상도

Kyeongsang-do

전라도

Jeolla-do


ISO-3166에는 전세계 나라와 부속 영토, 나라의 주요 구성 단위의 명칭에 고유 번호를 부여해놓았습니다.

3166-1에는 2자리 혹은 3자리로 국가코드를 구분해놓았구요. (한국은 KR, KOR)

3166-2에는 행정 구역 코드를 구분해놓았습니다.

여기에 정의된 대로 하자면 우리나라는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Capital Metropolitan City (특별시) / Metropolitan City (광역시) / Province (도)

그리고 각 지역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간혹 Code를 넣으라는 사이트도 있더라구요.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ISO-3166-2 대한민국 행정구역 코드


그럼 간단하게 작성한 예시(경기도청 영문 주소)를 하나 쓰고 글을 마무리할까합니다.

Adderss 1 :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Maesanno 3-ga, Paldal-gu

Address 2 : - (비움)

City : Suwon-si

State/Province/region: Kyeonggi-do (or KR-41)

Country: Korea, South Korea, Republic of Korea 중 하나

Zip/Postal code: 442781


정보출처: 위키백과 ISO 3166-2

http://ko.wikipedia.org/wiki/ISO_3166-2:KR

TechTrip 상식이라 일컫는 것.

의약외품이란?

2015. 4. 4. 13:21

탈모 예방 전용 샴푸 홈쇼핑 광고를 보고 문득 들었던 생각을 정리하여 적어봅니다.

요즘 탈모에 관심이 많은 남성들이 많은데요. 저는 더욱 그렇습니다.

앞머리가 M자 거든요.

 

제가 본 홈쇼핑에서 탈모 예방 샴푸라며 '의약외품'이라고 그렇게나 강조하는 겁니다.

의약외품이 그렇게 강조할만한 대단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의약외품이라면 의약품 아닌 거잖아요?

화장품, 소화제, 모기약 심지어 박X스에도 의약외품이 붙어있잖아요?

뭐가 대단하다고 그렇게 의약외품을 강조하는건지 의아했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의약외품의 정확한 뜻을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

 

의약외품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경감(輕減)·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나.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다.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살균·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가 목에 해당하는 것은 생리대, 감싸개(붕대), 거즈 등 입니다.

나 목에 해당하는 것은 구취제, 치약, 탈모방지제, 제모제 등 이네요.

다 목에 해당하는 것은 살충제, 구제제, 파리 모기 등의 기피제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외에도 콘택트렌즈관리용품, 흡연보조제, 소독제 등도 의약외품입니다.

 

그럼 탈모 방지 샴푸는 당연히 의약외품에 해당되는 것은 아닐까요?

의약외품범위지정 고시에 보면 약간의 조건이 있더라구요.

전립선 암에 사용되는 여성호르몬제(디에스칠스틸베스트롤) 2mg 이하

피부염에 사용하는 스테로이드제(하이드로코티손 및 그 에스텔) 1.6mg 이하

항염제로 쓰이는 성분(프레드니솔론) 0.5mg 이하

위와 같은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양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제가 쓰는)탈모 방지 샴푸의 흔한 의약외품 표시

 

의약외품의 조건을 충족하여 덜 위험하다는 것은 증명됩니다.

그렇지만 탈모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보장은 역시나 없네요.

저의 의심은 합리적이었던 것으로 결론지어봅니다.

'의약외품'을 강조하며 마치 의약품에 준하는 듯 광고하는 홈쇼핑은 좀 너무한거 아닐까요? 

 

다른 상품들도 공산품과 달리 의약외품으로 지정할 때 조건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궁금하시면 아래 정보출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의약외품에 대한 고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정보출처: 보건복지부(http://www.mw.go.kr/)의 법령 훈령/예규/고시/지침 참고 

보건복지부 의약외품범위지정(고시 2011-173호)

TechTrip 상식이라 일컫는 것.